MIME 타입(HTTP통신 헤더 바디), 패킷스위칭, 서킷스위칭
먼저 한 상황을 가정해보자
클라이언트가 서버에게 POST 요청을 하는 상황이다
(POST요청은 정보를 추가해줘! 라는 것과 같다)
이 경우 사진을 하나 보낸다고 가정하면
그 정보는 헤더와 바디를 통해 날아가게 된다.
(http헤더, http바디 라고 부른다)
그렇다면 이 헤더와 바디가 무엇인가?
헤더 : Data를 설명해주는것
바디 : 실제 Data
라고 쉽게 이해하고 있으면 된다.
http통신은 패킷 스위칭 방식과 서킷 스위칭 방식으로 나뉜다.
서킷 스위칭은
ABCD라는 데이터를 보낸다고 하면 ABCD를 한방에 보내는것이다.
이제 이런방식이고 선이 계속 연결되어 있어야 하므로
속도는 굉장히 빠르지만 부하가 크다는 단점이 존재한다.
게다가 2명이 보내면 선이 2개
3명이 보내면 선이 3개여야 한다 (부하 증가++)
패킷 스위칭은
ABCD를 A, B, C, D 이렇게 나눠서 보내는 방식을 의미한다.
그림이 좀 복잡할 수 있지만
2명이 전송시에도 패킷스위칭은 선이 2개가 생기는것이 아닌
선 하나로 정보를 전달하는 방식이다.
B는 가, 나, 다, 라, 사, 아, 자 를 따로따로 받으니
정보가 중간에 섞일 수 있고
누가보낸지 헷갈릴 수 있기 때문에
헤더라는 것을 추가해서 정보를 받게 되는것이다.
위에 사진을 보면 주황색으로 적혀있는 알파벳과 숫자는 헤더
가나라다... 는 바디라고 보면된다.
이렇게 헤더와 바디를 같이 해서 보내면 b입장에서는
헷갈리지도않고 빠르고 정확히 정보를 받을 수 있다. (패킷스위칭 짱짱맨?)
이제 MIME타입에 대해서 알아보자면
MIME타입은 위와 같이 헤더의 정보를 적는 방식을 의미하는 것이다.
보통 일반적인 구조는 type/subtype으로 나뉜다.
( / 로 문자열을 구분한다)
예시
요렇게? 표현한다
/ 로 구분!!
쉽게 보자면 저기 3번째를 설명하자면
이미지를 보낼껀데 jpeg라는 확장자를 가진 이미지야! 이런뜻이다
MIME타입은 엄청나게 종류가 많으므로
다 외울수는 없고 기본적인 개념을 알고있고
원할 때 찾을 수 있기만 하면 될 것 같다.